KT에이블스쿨/KT에이블스쿨 7기 (기자단)

4차 미니프로젝트 [KT 에이블스쿨 7기] 2025.06.17(화)~2025.06.20(금)

PaperDrop 2025. 6. 24. 17:36

2025.06.17 (화)

~ 2025.06.20 (금)

 

 

 

이번 미니 프로젝트는,

3차 미니 프로젝트에서 했던 것과 같이

IT 인프라를 설계하는데

이번에는 온프레미스가 아니라

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하여 구성하는 것

이 주제입니다 ! 

 

그래서 이전에 했던 목표 시스템과도 다르게

'도심 교통 데이터를 활용한 ITS 기획'

이 목표입니다 ! 

 

먼저 ITS는 '지능형 교통 시스템'으로

첨단 기술을 이용해 교통 체계의

효율성과 안정성을 높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!

 

그걸 이제 어떤 식으로 서비스를 구상하고

시스템을 구축할 것인지 ! 

 

팀원들과 함께 열심히 의논하여

작성해보았습니다 :D

 

 


 

[ (IT인프라/클라우드) 클라우드 아키텍처

   - 도심 교통 데이터를 활용한 ITS 기획 및 인프라 설계 ]

 

2. 미니프로젝트 개요

- 주제 : 도심 교통 데이터를 활용한 ITS(지능형 교통 시스템) 기획 및 인프라 설계

- 학습 과목 : 목표시스템/하드웨어/소프트웨어/통합 구성도, 서비스 흐름도, 프로토타입

- 데이터 출처 : RFP

- 데이터 구분 : 각 수행 단계별 RFP

- 중점 사항 : 최종 설계 목표/수행 당계별 요구사항을 명확히 확인

 

3. 도메인 이해

○ ITS(Intelligent Transport System)

  : 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교통 체계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는 시스템 

  → 도로, 차량, 정보 통신 기술을 통합하여 교통 정보 제공, 교통 관리, 안전 확보 등 다양한 서비스 제공

  → 역할 : 교통 체계 효율성 향상, 교통 사고 예방, 환경 보호 기여,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, 도시 경쟁력 향상

  → 주요 특징 : 첨단 기술 활용, 교통 정보 제공, 교통 관리, 안전 확보, 효율성 향상

  → 예시 : 첨단교통관리시스템(ATMS), 첨단교통정보시스템(ATIS), 상용차량 운행관리 시스템(CVO) 등

 

4. 데이터 소개

○ RFP 요약

- 사업명 : 도시 ITS 인프라 구축 및 운영 전략 수립

- 사업 목적 : 도심 주요 교차로/도로에 센서 설치 및 교통 데이터 수집, 수집된 정보 기반 교통 흐름 최적화

- 수행 범위 : 교통 센서 배치 및 네트워크 설계, 시스템 구성, 알림 시스템 포함, 보안/백업/방애 대응 체계 수립

- 기능 요구 : 실시간 교통량 수집, 혼잡 구간 예측, 실시간 대시보드, 긴급 상황 알림 및 대응 체계

- 사용자 유형 : 일반 시민, 운영 관리자, 교통 제어 담당자

- 인프라 형태 : 퍼블릭 클라우드 기반

- 핵심 구성 요소 및 요구사항

  : 프런트엔드 및 API 서비스 계층(Cloud-native), 백엔드 분석 및 저장 계층(Scalable), 데이터 수집 및 IoT 연계 계층,

    보안 및 접근 제어, 운영/백업/재해복구(클라우드 네이티브 서비스 활용), 확장성/탄력성 고려

 

5. 프로젝트 목표 및 진행 방법

○ 프로젝트 목표

  : 교통량 수집, 분석, 시각화, 사용자 안내 기능 등을 포함한 시스템 기획 및 인프라 설계

 

6. 수행 가이드

○ [1일차] 목표 시스템 구성도

목표시스템 구성도

 

    → 교통 통합 관제 시스템 설계를 목적으로 시스템과 서비스를 구성 및 설계

    → 다양한 API를 활용한 종합 관제 및 대시보드 서비스 제

 

○ [2일차] 인프라(하드웨어+소프트웨어) 구성도

인프라 구성도

 

    → 인터넷과 연결되는 VPC를 Public Subnet과 Private Subnet으로 나누어 서버별 보안 강화

    → 영상/이미지를 처리 및 분석하는 ML 시퀀스 및 서버를 별도로 만들어 구성

    → 백업/재해 복구에 용이하도록 DB는 하이브리드로 구성

 

○ [3일차] 서비스 구성도

서비스 구성도

 

    → 목표 시스템 구성도에서 구상한 서비스를 UI와 DB와 연결함으로써, 서비스 구성에 필요한 작업을 고려 가능

    → 이용자별, 서비스별 연결 관계를 확인하기 쉽게 색깔로 구분

 

○ [4일차] 프로토타입 & 발표자료

프로토타입 (Figma)

 

    → 웹과 휴대폰 앱별, 사용자별 UI를 나눠 실제 화면 배치 및 서비스 흐름 제작

    → 시스템 관리자 제외 핸드폰 앱 UI 구현

 

발표자료

 

    → 프로젝트 추진 근거 및 주제, 구상 및 제작 과정 설명

 

 


 

 

이번에도 온프레미스 때와 크게 차이 없는

결과물이 나왔습니다 ! 

 

온프레미스 아키텍처에서는

그냥 물리적 설비와 관계만을

생각하면 됐었다면,

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면 리소스를

소프트웨어 형태로도 이용 가능하기 때문에

생각보다 다양한 서비스를 간단하게 

구현할 수 있었습니다.

 

하지만 이것이 장점이 동시에 단점이었습니다.

정말 다양한 서비스가 있고,

다양한 기능이 있는 S/W들이 많다보니

서비스를 계획하는 입장에서는 

정말 많은 것을 고려해야 하더라구요... 

 

하지만 ! 

서비스를 제공하는 입장에선

많은 것을 알수록 더욱 

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니,

열심히 공부해서 경쟁력을 

갖춰야겠습니다 ~ :D

 

 

이번 미니프로젝트는 4일 간 진행되어

팀원들과도 많은 시간을 보냈습니다 ! > <

 

밥도 많이 먹고 ~ 회의도 많이하고 ~

 

그리고 이번에는 KT탄방빌딩 출입 보안이 

강화되어서 에이블러들도 간단한 명찰

차고 다녀야되게 변경되었네요 !

아무 태그 기능없는 귀요미 출입증입니다..! ㅎ

 

에이블러 출입증

 

그리고 빠질 수 없는 !

4일 간 식단인데.. 

제가 구내식당 사진은

못 찍었습니다 ㅠㅠ

 

점심 메뉴

 

하루는.. 뭐 먹었지...

기억이 잘 안나네요 ㅋ큐ㅠㅠ

사진도 안 남겨서....

 

멋쟁이 20조

 

그리고, 13시 30분인데 

저희 조 밖에 없는 ㅋ큐ㅠㅠ

 

근데 이거 정말...

점심시간 1시간인데

탄방빌딩에서는 1층 왕복에

20분 이상 걸립니다...

점심시간 더 주세요 .... 흑흑..ㅠㅠ

 

 

이번 미프도 조원들과 함께 

재미있고 알차게 보내다 왔습니다 !

 

비록 이전 온프레미스와 산출물이 

동일해서 조금은 루즈하고 답답했지만

역시나 열심히하면 얻어가는건 언제나 !

있는 KT 에이블스쿨 입니다 !

 

다들 오늘도 고생하셨습니다 ! :D