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5.05.09 (금)
어제는 오전 독감 확진되고 나서 약을 맞았는데
밤에는 머리가 너무 아파서 복습을 못 했습니다...
왜냐하면 수업도 중간부터 못 들었기 때문이죠..ㅎㅎㅎ..
약을 맞아서 그런지 점심 밥먹을 때부터 머리가 깨질 듯이 아팠습니다... ㅠㅠ
그래도 KT에이블스쿨이나 IT인프라에 대해 듣고 싶은 분들이 오셨을테니
사담은 여기까지 하겠습니다 ..! :D
어제부터 Cloud에 대한 이야기를 시작하시면서
첫 챕터로 IT 인프라에 대한 이야기를 하셨습니다 !
IT 인프라는 크게 '컴퓨터 개론'과 'IT 인프라 개요'로 구성됩니다.
첫 시간에 들은 내용은 내일 강의를 다시 들을 예정이나 간단한 개념만,
IT 인프라는 오늘 들은 내용을 잘 정리해보겠습니다.
그럼 리뷰 시작합니다 !

[컴퓨터 개론]
1. ICT기술과 컴퓨터
○ ICT 기술
: 정보기술(Information Technology)과 통신기술(Communication Technology)의 합성어, 정보통신기술
○ 데이터 파이프라인
: 수집 → 저장/처리 → 분석 → 학습
○ 컴퓨터 구성 요소
: 시스템 소프트웨어 / 응용 소프트웨어 / 하드웨어
2. 데이터 표현과 논리회로
○ 진법
: 자릿수가 올리가는 단위를 기준으로 하는 셈법
→ 컴퓨터는 2진수를 이용
→ 1byte는 8bit, bit는 데이터를 표현하는 최소 단위(0또는 1로 구성)
○ 아스키코드(ASCII, 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Code)
: 1963년 미국 ANSI에서 표준화, 영어를 표현하는 표준 코드 이며 7bit 부호체계
○ 유니코드
: 영어권 이외의 문자를 표현하기 위해 만든 코드, 16bit으로 구성
→ 한글은 11,172글자를 포함하며, 전체 코드의 17%를 차지한다.
→ 대표적으로 'UTF8'이 있다.
3. 컴퓨터 구조
: 시스템 버스 + ( CPU/기억장치/입출력장치 )
→ CPU 프로그램 실행 순서 : 패치 → 디코딩 → 실행
○ MCU 종류 (=임베디드 CPU)
: ARM, AVR(아두이노), DSP
○ 임베디드
: PC를 제외한 기기에 들어가는 CPU를 통칭 (저전력만 허용)
○ 기억장치
: CPU, 주 기억 장치, 보조 기억 장치
→ CPU에서 보조 기억 장치로 갈수록 읽고 쓰는 속도가 느려지고 가격이 싸진다. 저장 용량도 커진다.
[IT 인프라 개요]
1. IT 인프라 개요
: 기업이나 조직이 IT 서비스를 원활히 운영하고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하드웨어, 소프트웨어, 네트워크, 데이터 센터, 보안 시스템 등의 기술 및 시스템의 집합을 의미
→ 기업의 정보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관리 및 운영의 기초
→ 클라우드, 빅데이터, AI, IoT 등의 기술과도 긴밀히 연결
○ IT 인프라의 중요성
① 비지니스 운영의 필수 요소(DX를 통해 디지털 기술 활용)
② 확장성 및 유연성 제공
③ 데이터 관리 및 분석 기반 제공
④ 보안 및 규제 준수
⑤ IT 서비스 자동화 및 비용 절감
2. 하드웨어 인프라
: IT 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물리적 장치 및 구성 요소를 의미
→ 서버, 스토리지, 네트워크 장비, 데이터센터 설비, 보안 장비 등
→ 클라우드 환경에서 가상화된 형태로 제공되기도 함
○ 3-Tier 아키텍처
: Presentation Tier, Bussiness Logic Tier, Data Tier로 구성, 각 계층의 독립적 하드웨어 인프라 필요
→ (Presentation Tier : Client), (Bussiness Logic Tier : Server), (Data Tier : Database)
○ 서버 유형에 따른 분류
구분 | 물리 서버 (Physical Server) |
가상 서버 (Virtual Server) |
클라우드 서버 (Cloud Server) |
엣지 서버 (Edge Server) |
블레이드 서버 (Blade Server) |
랙 서버 (Rack Server) |
설명 | 독립적인 하드웨어 기반 서버 | 가상화 기술을 이용해 여러 서버 운영 | 클라우드 환경에서 제공하는 가상 서버 | 사용자와 가까운 위치에서 데이터 처리 | 여러 개의 서버 모듈을 섀시에 장착 | 표준 랙에 장착 가능한 서버 |
장점 | 높은 성능과 보안 | 유연한 자원 관리 | 확장성과 비용 효율성 | 지연 시간 단축 | 공간 절약, 전력 효율성 | 유지보수 용이 |
단점 | 비용이 높고 확장성 제한 | 성능 오버헤드 발생 가능 | 지속적인 비용 발생 | 관리가 어려움 | 초기 비용이 높음 | 전력 소비가 높음 |
사용사례 | 데이터센터, 온프레미스 환경 | 클라우드, 데이터센터 | AWS, Azure, GCP 등 | IoT, 5G, 스마트팩토리 | 대규모 데이터센터 | 기업 및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|
○ 스토리지
: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하는 장치, 운영체제/애플리케이션/데이터베이스/멀티미디어 파일 등을 저장
→ 속도, 확장성, 내구성, 비용 등이 고려됨.
→ 분류 방식 : 저장방식, 디스크단위, 네트워크 연결방식
○ 네트워크
: 두 개 이상의 장치가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교환하는 시스템을 의미
→ 유무선 통신을 이용해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IT 인프라의 핵심적인 역할을 함
○ HW 보안
→ 네트워크 보안, 시스템 보안, 물리적 보안
3. 소프트웨어 인프라
: IT 시스템을 원활하게 운영되도록 지원하는 기반 소프트웨어 환경을 의미
→ 운영체제, 미들웨어, 데이터베이스, 가상화, 클라우드 서비스, 보안 소프트웨어 등으로 구성
○ 미들웨어 (Middleware)
: 애플리케이션 간 데이터 처리 및 통신 지원
→ 주요 기술
-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(WAS) → Tomcat, JBoss, WebSphere
- 메시징 미들웨어 → Apache Kafka, RabbitMQ (비동기 메시징 처리)
- API 게이트웨이 → Kong, Apigee (API 관리 및 보안)
→ 사용 사례
- 전자상거래 사이트에서 Kafka를 사용해 주문 데이터 처리
- 마이크로서비스 환경에서 API 게이트웨이 적용
○ 데이터베이스 (Database)
: 데이터를 저장, 관리, 검색 및 분석하는 역할
→ 주요 기술
-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(RDBMS) → MySQL, PostgreSQL, Oracle, SQL Server
- NoSQL 데이터베이스 → MongoDB, Cassandra, Redis
- 데이터 웨어하우스 → Amazon Redshift, Google BigQuery
→ 사용 사례
- 고객 정보 및 트랜잭션 데이터를 Oracle DB에 저장
- 실시간 데이터 분석을 위해 MongoDB 활용
○ 가상화 (Virtualization)
: 서버, 네트워크, 스토리지 자원을 논리적으로 분할하여 효율적으로 활용
→ 주요 기술
- 서버 가상화 → VMware vSphere, KVM, Hyper-V
- 네트워크 가상화 (SDN) → Cisco ACI, OpenFlow
- 스토리지 가상화 (SDS) → Ceph, vSAN
→ 사용 사례
- 데이터센터에서 VMware를 활용해 서버 가상화 환경 구축
- SDN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트래픽 동적 관리
○ 클라우드 플랫폼 (Cloud Platform)
: 클라우드 환경에서 애플리케이션과 인프라를 운영 및 관리
→ 주요 기술
- 퍼블릭 클라우드 → AWS, Azure, Google Cloud
- 프라이빗 클라우드 → OpenStack, VMware Cloud
-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→ AWS Outposts, Azure Stack
→ 사용 사례
- SaaS 기업이 AWS에서 애플리케이션 배포
- 금융권이 프라이빗 클라우드(OpenStack) 구축
○ 컨테이너 & 오케스트레이션
: 애플리케이션을 컨테이너 단위로 실행 및 관리
→ 주요 기술
- 컨테이너 기술 → Docker, Podman
-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→ Kubernetes, OpenShift
- 서버리스(Serverless) → AWS Lambda, Azure Functions
→ 사용 사례
- 마이크로서비스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Kubernetes로 자동 확장
- AWS Lambda를 활용하여 서버리스 애플리케이션 개발
4. 네트워크 인프라
: 서버, 스토리지, 애플리케이션이 서로 원활하게 통신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IT 인프라의 핵심 요소
→ 유무선 내트워크 장비, 프로토콜, 보안 시스템, 가상 네트워크 및 클라우드 환경 등이 포함
5. 클라우드 인프라
: 컴퓨팅, 스토리지, 보안 등의 IT 인프라를 가상화하여 인터넷을 통해 제공하는 환경을 의미
→ 퍼블릭, 프라이빗,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형태로 구축되면, IaaS, PaaS, SaaS와 같은 서비스 모델로 운영됨
○ 클라우드 구성요소
구분 | 설명 | 주요 기술 및 솔루션 | 적용 사례 |
컴퓨팅 (Compute) |
가상 서버(VM), 컨테이너, 서버리스 | AWS EC2, Google Compute Engine, Azure VM | 애플리케이션 실행, 빅데이터 분석 |
스토리지 (Storage) |
데이터 저장, 파일 및 객체 스토리지 | AWS S3, Azure Blob, Google Cloud Storage | 데이터 백업, 파일 공유 |
네트워크 (Network) |
가상 네트워크, 로드 밸런싱 | AWS VPC, Azure VNet, Cloudflare CDN | 하이브리드 클라우드, 글로벌 서비스 |
보안 (Security) |
방화벽, IAM, DDoS 방어 | AWS IAM, Azure Security Center, WAF | 클라우드 보안 강화 |
데이터베이스 (Database) |
관계형 DB, NoSQL, 데이터 웨어하우스 | AWS RDS, Google BigQuery, MongoDB Atlas |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저장 |
컨테이너 & 오케스트레이션 |
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 실행 | Docker, Kubernetes, AWS EKS | 마이크로서비스 운영 |
모니터링 및 운영 | 실시간 성능 모니터링, 자동화 | AWS CloudWatch, Prometheus, Terraform | 네트워크 및 애플리케이션 운영 최적화 |
○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
구분 | 설명 | 주요 기술 및 솔루션 | 적용 사례 |
IaaS (Infrastructure as a Service) |
가상 서버, 네트워크, 스토리지 제공 | AWS EC2, Azure VM, Google Compute Engine | 서버 및 데이터센터 운영 |
PaaS (Platform as a Service) |
개발 환경 및 실행 플랫폼 제공 | AWS Lambda, Google App Engine, Heroku | 개발자용 애플리케이션 배포 |
SaaS (Software as a Service) |
최종 사용자용 소프트웨어 서비스 | Google Workspace, Dropbox, Salesforce | 이메일, 협업 도구, CRM |
6. 인프라 운영 DevOps & MLOps
: IT 인프라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, 성능을 최적화하며, 확장성과 보안성을 관리하는 과정
○ 인프라 운영의 주요 목적
: 시스템 안정성 유지, 자동화 및 효율성 향상, 보안 및 규정 준수, 비용 최적화
○ DevOps & MLOps
: 인프라 운영을 자동화하고, 소프트웨어 및 머신러닝 모델의 개발-배포-운영을 최적화하는 프레임워크
→ MLOps는 DevOps 개념을 ML에 적용하여 모델 개발 및 운영에 적용한 방법론
○ DevOps
: Development + Operation을 통합하여 소프트웨어 개발 및 배포를 자동화하는 방법론
→ 구성요소
구분 | 설명 | 주요 기술 및 도구 |
CI/CD (지속적 통합 & 배포) | 코드 변경 사항을 자동으로 빌드, 테스트, 배포 | Jenkins, GitLab CI/CD, GitHub Actions |
IaC (Infrastructure as Code) | 코드 기반으로 인프라 구축 및 관리 | Terraform, Ansible, AWS CloudFormation |
컨테이너 및 오케스트레이션 | 애플리케이션 컨테이너화 및 관리 | Docker, Kubernetes, Helm |
모니터링 및 로깅 | 애플리케이션 및 시스템 상태 모니터링 | Prometheus, Grafana, ELK Stack |
보안 및 DevSecOps | 개발 과정에서 보안 자동화 | HashiCorp Vault, SonarQube |
○ MLOps
: 머신러닝 모델 개발, 배포, 운영을 자동화하는 방법론
→ DevOps 개념을 ML 워크프롤우에 적용하여 데이터 및 모델을 효율적으로 관리
생각보다 내용이 너무 광대하여
중간에 불필요 하다고 생각되는건 생략하고
강조하신 이야기 위주로 정리해봤습니다 !
그래도 양이 장난아닙니다..
2일치를 작성했지만,
1일차 내용을 거의 없고 대부분 2일차 내용이네요 !
역시 오늘 수업이 30일간 수업에서
가장 중요하다고 말씀하신 강사님의 말씀이
정말 사실이었던거 같습니다 !
그정도로 어디서 듣지 못할
Cloud 시스템에 대한 내용을 들었습니다 !
이렇게 체계적으로 많은 단계를 거쳐서
고객과 기업에서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는줄
처음 알게 된 듯합니다 !
정말 흥미로운 이야기이기도 했고,
그만큼 생소해서 많이 공부해야겠다고
느껴지기도 했습니다 !
앞으로 Cloud에 대해 배우면서
더욱 갈고 닦아보겠습니다 ~!

그럼 오늘도 고생하셨습니다 !!
'KT에이블스쿨 > 수업 복습 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온프레미스 아키텍처 - 하드웨어 구성도 [KT 에이블스쿨] 2025.05.19(월) (2) | 2025.05.28 |
---|---|
온프레미스 아키텍처 - 목표 시스템 구성도 [KT 에이블스쿨] 2025.05.16(금) (0) | 2025.05.19 |
생성형AI (6일차) [KT 에이블스쿨] 2025.04.25(금) (0) | 2025.04.25 |
생성형AI (5일차) [KT 에이블스쿨] 2025.04.24(목) (1) | 2025.04.24 |
생성형AI (4일차) [KT 에이블스쿨] 2025.04.23(수) (0) | 2025.04.23 |